학습개요
신청하실 학습기간을 선택하세요.
과정소개
강좌소개
리더들의 소통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조직내에서의 소통비결을 알려주고, 업무 성과를 내기 위한 인사이트 제시
하이브리드 시대 조직에서의 소통, 어떻게 해야 가장 좋을까요. 그 해답을 알려드립니다.
[과정1]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, MZ세대와의 소통 리더십
- 하이브리드 시대 우리가 알아야 할 소통의 방법을 제시합니다.
[과정2] 같이 수강하면 좋은 과정 - "김민식PD에게 듣다 - MZ세대와의 소통"
- 본 과정과 같이 들으면 좋은 과정입니다.
- MBC 예능 PD: 김민식 PD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합니다.
[교육과정 문의] 한국표준협회 경영교육혁신센터 02-6240-4808 / hsilver@ksa.or.kr
학습목표
1. 조직원들과의 소통 법을 설명할 수 있다.
2. 동기부여가 가능한 피드백 스킬을 설명할 수 있다.
3.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보유하기 위한 행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4. 업무민첩성을 키우는 애자일 소통법을 설명할 수 있다.
2. 동기부여가 가능한 피드백 스킬을 설명할 수 있다.
3.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보유하기 위한 행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4. 업무민첩성을 키우는 애자일 소통법을 설명할 수 있다.
학습대상
각 기업/기관의 중간리더. 팀장 등
학습내용
1. 하이브리드 시대의 비대면 소통법 : 대면이 부담스러운 MZ 세대 vs 회식이 그리운 X 세대
-비대면으로 심리적 안정감이 높아짐
-재택근무가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보고 없음
-넷플릭스 CEO “재택근무의 장점을 하나도 모르겠다.”
-MS전직원 설문 조사 결과, 직원 70% “동료들과 만나고싶다.” 직원 70% “출근(대면 근무)은 하기 싫다.”
-리더는 어떤 방법으로 소통을 해야 할까?
2. OKR에 적용 가능한 동기부여 피드백 스킬 : 1시간의 면담 vs 1분 미만의 피드백
-평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?
-학종으로 대학 가던 세대, 자기 발전에 민감한 세대,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일의 의미를 찾기 위함이다. 한 순간의 평가보다잘 할 수 있는 피드백이 더욱 중요시 됨.
-구글의 성과 관리 시스템 OKR은 한 번의 평가가 아닌 여러 번의 피드백 과정이다.
-1시간의 면담보다 1분 미만의 IT기기를 활용한 피드백이 효과적이다. (하버드 비즈니스 리뷰, 2019)
-동기부여를 위한 피드백 방법은?
3. DT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: 포노사피엔스와의 협업, ‘디지털 리터러시’가 먼저다
- DT로 전환을 시도한 기업 중 16%만 성공함
- 마인드의 DT가 우선이다. a 꼰대 마인드를 버려라.
- 역멘토링을 활용한 DT 마인드 셋팅 (ex : 구찌, 뉴욕타임즈)
- 포노사피엔스와의 소통법도 ‘디지털 리터러시’
- 어느 영역까지를 ‘디지털 리터러시’로 볼 것인가? (디지털역량 관련 논문 제시)
→ 세상의 모든 변화에 관심이 있을 때, 소통이 가능함.
4. 업무 민첩성을 키우는 애자일 소통법 : 빠르게 방향전환하는 MZ 세대 vs 유지 관리하는 X 세대
- 비즈니스에 민첩성을 부여하는 공유 문화와 MZ세대
- (공유 문화)구성원들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말하도록 격려하라
→ 리더의 도전의식과 책임감도 함께 표현하라.
- 안 보이는 부분까지 신뢰하는 소통의 리더십
- 작은 시도와 도전으로 다양한 성공을 경험하도록 하라
- 긱경제’시대에 ‘긱워커’ 육성법 a 위험 감수 리더십 요구
-비대면으로 심리적 안정감이 높아짐
-재택근무가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보고 없음
-넷플릭스 CEO “재택근무의 장점을 하나도 모르겠다.”
-MS전직원 설문 조사 결과, 직원 70% “동료들과 만나고싶다.” 직원 70% “출근(대면 근무)은 하기 싫다.”
-리더는 어떤 방법으로 소통을 해야 할까?
2. OKR에 적용 가능한 동기부여 피드백 스킬 : 1시간의 면담 vs 1분 미만의 피드백
-평가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?
-학종으로 대학 가던 세대, 자기 발전에 민감한 세대,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일의 의미를 찾기 위함이다. 한 순간의 평가보다잘 할 수 있는 피드백이 더욱 중요시 됨.
-구글의 성과 관리 시스템 OKR은 한 번의 평가가 아닌 여러 번의 피드백 과정이다.
-1시간의 면담보다 1분 미만의 IT기기를 활용한 피드백이 효과적이다. (하버드 비즈니스 리뷰, 2019)
-동기부여를 위한 피드백 방법은?
3. DT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: 포노사피엔스와의 협업, ‘디지털 리터러시’가 먼저다
- DT로 전환을 시도한 기업 중 16%만 성공함
- 마인드의 DT가 우선이다. a 꼰대 마인드를 버려라.
- 역멘토링을 활용한 DT 마인드 셋팅 (ex : 구찌, 뉴욕타임즈)
- 포노사피엔스와의 소통법도 ‘디지털 리터러시’
- 어느 영역까지를 ‘디지털 리터러시’로 볼 것인가? (디지털역량 관련 논문 제시)
→ 세상의 모든 변화에 관심이 있을 때, 소통이 가능함.
4. 업무 민첩성을 키우는 애자일 소통법 : 빠르게 방향전환하는 MZ 세대 vs 유지 관리하는 X 세대
- 비즈니스에 민첩성을 부여하는 공유 문화와 MZ세대
- (공유 문화)구성원들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말하도록 격려하라
→ 리더의 도전의식과 책임감도 함께 표현하라.
- 안 보이는 부분까지 신뢰하는 소통의 리더십
- 작은 시도와 도전으로 다양한 성공을 경험하도록 하라
- 긱경제’시대에 ‘긱워커’ 육성법 a 위험 감수 리더십 요구
학습방법
web 및 모바일 병행
교재정보
![]() |
교재명 | 젊은 꼰대가 온다 : MZ세대와 회식 없이 친해지는 법 |
---|---|---|
저자 | 이민영 교수 | |
출판사 | 크레타 | |
출판일 | 2022.03.01 | |
페이지 | 288 |
학습목차
- 하이브리드 시대의 비대면 소통법
- OKR에 적용 가능한 동기부여 피드백 스킬
- DT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
- 업무 민첩성을 키우는 애자일 소통법
수강후기
- 등록된 후기가 없습니다.
- 교육신청